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보건교사회와 2015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체계 활성화 방안 워크숍을 통해 ‘2014년도 학교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13일 발표한다.
학교 보건교사들은 학교감염병 감시 결과를 공유하고 보건교사의 사례발표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감염병 예방 관련 최신 지식을 습득하는 등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2014년도 학교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보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흔한 감염병은 감기로 학생 1,000명당 38.22명이 발생했다. 이어 수두(3.72명), 유행성이하선염(3.28명), 결막염(2.03명), 폐렴(0.95명), 뇌막염(0.21명)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다.
학교감염병 중 감기를 제외하고 초등학교는 ‘수두’, 중·고등학교는 유행성이하선염이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월별로는 감기는 3월, 수두와 뇌막염, 유행성이하선염은 5월에 유행했다. 결막염은 9월, 폐렴은 10월 높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부 측은 “감기 등은 기침이나 콧물 등의 분비물을 통해 쉽게 감염되므로 3월 개학 후 감기 예방을 위해 손 씻기 같은 개인 위생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