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이완구 국무총리는 9일 일본의 한일고대사 왜곡사례인 임나일본부설 주장 등과 관련,"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 된다"며 "엄연한 진실을 덮을 순 없고 언젠가는 준엄한 역사의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예정에 없던 티타임을 갖고 "일본의 역사 왜곡 문제는 앞으로의 한일 관계나 미래 세대를 위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해 진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리의 대일(對日) 메시지는 최근 '임나일본부설'과 '독도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내용을 담은 일본 중학교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한 데 대한 경고의 뜻으로 풀이된다.
이 총리는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 "지록위마(指鹿爲馬.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라는 말을 쓰고 싶다"며 "아시아의 평화와 새로운 평화질서에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특히 임나일본부설에 대해 "고대에 한반도 남쪽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해 신라와 백제가 마치 일본의 식민상태에 있었다는 (일본 교과서 내용의) 보도를 봤다"며 "충남의 공주와 부여는 백제의 왕도였고, 총리 이전에 대한민국 국민 한사람으로서, 또 충남지사를 지낸 사람으로서 한일 고대사 관계를 명쾌히 해야 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660년 백제가 멸망했을 때 수십만 명이 일본으로 건너갔다"며 "당시로서는 엄청난 인구로, 백제 지도층은 전부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에다 후나야마(江田船山)라는 지역에 있는 묘에서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혁대와 비슷하면서 조금 작은 혁대가 나왔다"며 "2010년 3월 한일 역사 공동연구위원회는 '임나일본부'가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교육부에 이 부분에 대한 연구 활동을 강화하고 사실 규명에 대한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할 계획"이라며 "한일 고대사에 대한 정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