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경 기자] 환경부가 국정과제인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사회취약계층의 실내환경 진단과 개선에 나선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저소득층 가정, 결손가정, 환경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 거주가정 등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실내환경 진단개선 사업’을 5월 중순부터 실시한다.
이 사업은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환경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곰팡이, 폼알데하이드 등 주요 유해인자를 진단하고 개선이 필요한 가구에 대해 친환경 벽지 교체, 집먼지 제거용 청소기 제공 등 무료로 실내 환경을 개선해준다.
올해는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을 받은 총 2,000곳의 가구를 대상으로 환경성질환 유발인자를 진단하고 이 중 700가구를 지원한다. 특히 사회취약계층 중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비염 등 환경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는 실질적인 지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700곳의 실내환경 개선가구 중에서 환경성질환 어린이 거주가구의 비중을 20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가구 소독, 친환경 벽지 교체 등 실내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해 어린이들이 무료로 환경성질환 진료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손(祖孫)가정 등 병원 방문이 어려운 가정의 경우, 전문 교육을 받은 환경보건 컨설턴트가 병원 접수부터 진료 진행까지 어린이와 직접 동행해 도움을 주는 진료 도우미 서비스도 제공한다.
아울러 지난해까지 수도권, 5대 광역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진행한 것을 벗어나 올해는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중소도시까지 포함시켜 지역적으로 고른 환경보건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5월 중순부터 익산시를 시작으로 환경성질환 유발인자 진단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7월부터는 실내환경 개선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게자는 “실내환경 개선사업은 사회공헌기업으로부터 집먼지 제거용 청소기, 친환경 벽지·장판·페인트 등 실내환경 개선에 필요한 자재를 무상으로 후원받아 추진하고 있다. 지역의 사회적 기업을 실내환경 개선사업에 참여시켜 지역 일자리 창출도 유도할 예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