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국민들이 메르스 감염 불안을 덜고 보다 안심하고 진료 받을 수 있는 ‘국민안심병원’이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의사협회, 병원협회, 주요 병원장들과 함께 메르스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어려운 진료 현장에서 연일 고생하고 있는 의료계를 위로하고 의료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국민안심병원’은 중증 호흡기질환에 대해 병원 방문부터 입원까지 진료 전 과정에서 다른 환자로부터 격리해 진료하는 병원이다. 메르스 감염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대규모 병원 내 감염(super-spread)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된다.
메르스 대규모 병원 내 감염은 초기 증상보다 중증 폐렴단계로 진행한 메르스 환자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증 폐렴으로 진행한 메르스 환자가 다수의 환자가 밀집한 대형병원의 외래·응급실을 거쳐 입원실 또는 중환자실에서 진료를 받으면서 대규모 감염자를 발생시켜 왔다.
‘국민안심병원’은 병원 내 감염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호흡기증상환자 외래진료실을 유동인구가 드문 분리된 공간에 별도 설치해 환자가 외래·응급실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 진료, 폐렴의심환자는 1인 1실 원칙으로 1인실 또는 다인실에 혼자 입원시켜 병실 내 다른 환자로의 전염가능성 최소화,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한 폐렴환자는 반드시 메르스 검사 실시 후 메르스환자가 아님을 확인하고 중환자실로 입원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국민안심병원은 복지부와 병원협회가 공동으로 신청을 받고 준비가 되는 병원부터 즉시 적용을 된다. 준비일인 금일 현재 신청을 한 병원은 30여개 병원으로 복지부와 병원협회가 매일 신청을 받아 12일부터 명단을 공개할 계획이다.
복지부 측은 “대규모 병원 내 감염을 차단하고 제한적인 범위의 소수 감염자만 발생하게 돼 현재 대형병원의 대규모 병원 내 감염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메르스 확산 경로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