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정미 기자] 민물가마우지 개체수가 17년 만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이 조류 동시센서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민물가마우지의 개체수가 1999년 269마리에서 올해 9,280마리로 약 34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물가마우지>
이중 한강 일대에서 증가세가 가장 뚜렷했고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중랑천에서 1~2마리였던 민물가마우지는 올해 3,101마리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 초 한강 성산대교-성수대교 구간에서만 2,681마리가 발견됐다. 한강 외의 지역에서는 전북 만경강 1,200마리, 경남 주남저수지 769마리, 경남 낙동강 하구 717마리, 전남 광양만 659마리 순으로 나타났다.
민물가마우지는 사다새목 가마우지과의 조류로 몸길이 80cm 정도고 온몸이 검은색인 물새다. 가마우지과는 전세계 32종이 분포한다. 겨울철새, 통과철새, 텃새로 전국의 내륙 습지와 해안에서 살고 있고 잠수해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남미대륙과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민물가마우지의 개체수 증가는 철새였던 민물가마우지가 우리나라에서 번식지의 확대를 통해 텃새화 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지난 2003년 김포시 유도에서 100쌍이 번식하는 것을 처음 확인한 이후 김포대교 부근, 인천 서만도, 경기 양평, 춘천 의암호, 수원 서호 등지에서 잇따라 번식지가 발견됐다.
민물가마우지는 번식지로 나무가 있는 내륙의 저수지, 인공섬, 강 하중도, 육지에 가까운 무인도 등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중국 등의 국가에서도 민물가마우지의 번식 자체가 많아졌기 때문에 우리나라로 이동해서 겨울을 나는 개체 또한 많아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측은 “조류 동시센서스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민물가마우지의 전국적인 번식현황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