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세균이 요로를 통해 신장을 감염시켜 한기나 고열을 일으키는 급성 신우신염이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급성 신우신염’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했다. 이결과 진료인원은 2010년 14만 1,275명에서 2014년 17만 3,099명으로 연평균 5.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0년 1만 7,446명에서 2014년 2만 2,488명으로 연평균 6.55%, 여성은 같은 기간 연평균 5.02% 증가했다.
성별로는 2014년 기준으로 9세 이하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급성 신우신염으로 인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보다 많았다. 특히 20대, 30대, 40대는 각각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의 14.64배, 11.39배, 11.37배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신우신염은 주로 하부요로감염으로 인한 상행성 감염에 의해 나타난다. 해부학적 구조상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요도가 짧아 세균에 의한 하부요로감염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연령별로는 남성은 9세 이하에서 6,614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50대에서 2만9,295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월별로는 7, 8월에 많고 2월에 가장 적었다.
급성 신우신염은 치료되지 못한 하부요로 감염증으로 인해 균이 신장과 신우에 생기는 상부요로 감염증이다. 방광염 등의 하부요로감염증이나 요로폐색 등으로 인해 소변배출에 문제가 생기는 감염으로 생길 수 있다. 갑작스런 편측 혹은 양측의 옆구리 동통(측복통)과 함께 고열이 동반되며 늑골하부 압통이 있을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급성 신우신염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신장 기능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신장 자체의 구조적 문제 등으로 인한 반복적인 만성 신우신염 형태는 영구적인 신장 기능 저하를 유발 할 수 있다. 물론 방광염에 걸리면 모두 신우신염 형태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면역력에 문제가 없는 평소 건강했던 환자들은 별 문제 없이 회복이 되지만 고령의 환자나 임신부, 면역력이 저하돼 있는 환자군에게는 증상이 없는 방광염도 적극적으로 치료해서 신우신염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