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인 ‘사시’ 환자의 대부분이 10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사시 진료인원 중 0세부터 19세까지 10대 이하 환자가 84.9%를 차지했다. 남성은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3.9%로 9세 이하 57.7%, 10대 26.2%였다. 여성도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5.9%로 9세 이하 58.7%, 10대 27.2%로 가장 많았다.
사시는 소아에게 흔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서 나타나고 있다.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다양하나 영아사시는 6개월 이전, 조절내사시는 18개월, 간헐외사시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조절내사시는 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을 하면서 발생하고 간헐외사시는 한눈 또는 양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사시다.
시력이 완성되기 전 사시가 나타나면 시력발달 장애로 인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약시 치료는 반드시 8세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고 필요에 따라 프리즘안경을 고려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융합상태, 사시각의 크기, 환자 나이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사시 종류, 사시 정도에 따라 수술하는 근육의 개수와 수술 방법이 결정된다.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이 가능하며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해야 효과적이다. 굴절이상으로 생기는 조절내사시는 조절마비굴절 검사 후 안경착용이 치료원칙이다.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나타나는 빈도와 사시각을 고려해 치료시기를 결정하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다.
집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는 사시 증상은 한 눈이 코나 귀 쪽으로 향해 있거나 햇빛이나 밝은 빛을 보면 한 눈을 찡그리는 증상, 사물을 볼 때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보거나 턱을 치켜들거나 반대로 고개를 숙이는 증상, 또는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이는 등의 증상이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일반적으로 소아 사시환자의 경우 환자 자신은 증상이 없이 보호자 혹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사시 증상이 보이면 사시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