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평소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메니에르병’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메니에르병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10년 7만5,830명에서 2014년 11만1,37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0.1%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상 중·장년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90% 이상으로 이 중 40대 이상 환자의 비율이 2010년 78.3%, 2014년에는 80.8%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70.9%(7만 8910명)로 남성보다 진료인원 수가 2.4배 많았다.
하지만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 추이에서는 10대 이하와 60대 이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증가율이 높은 연령대는 10대 이하 청소년 그리고 20대와 7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4년 연령별 건강보험 진료인원 변화 추이>
메니에르병은 초기에는 어지러움증을 동반해 청력이 저하됐다가 어지러움증이 호전되면 난청도 호전되는 변동성 난청 양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어지러움증이 재발해 진행되면 결국 청력이 소실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인 메니에르병에 해당하며 청력에는 변화 없이 어지러움증만 나타날 수도 있고 난청과 이명, 이충만감 등의 청력 증상만 나타나는 비전형적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급성기 어지러움증 상태나 메니에르병이 처음 발현된 경우는 급성 전정신경염이나 돌발성 난청과 동반된 현기증과 감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기증을 동반하면서 점차 청력이 소실되는 외림프 누공이나 재발성 현기증이 짧게 순간적으로 반복되면서 만성적인 현기증이 발생하는 뇌혈관 질환, 그 외 중추성 질환과도 감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어지러움증, 이충만감, 갑작스러운 청력 변화 등의 증상이 발생했을 때 진료와 검사를 받고 증상 재발과 청력 변화에 대한 경과 관찰을 통해 메니에르병으로 진단을 좁혀갈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한수진 교수는 “현기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진 스트레스, 과로, 불면 등 육체적 피로를 피하고 식이요법으로 염분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카페인 음료의 과다한 섭취는 물론 음주와 흡연도 삼가야 한다”며 “급성기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관리로 메니에르병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나 재발성 현기증이 약물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발작 증세와 주기, 청력 소실 정도에 따라서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치료,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게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