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국가지질공원(이하 지질공원)이 인기 관광명소로 부각되면서 지자체들이 앞 다퉈 인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질공원이 관광촉진의 효과가 크고 국립공원 등 여타 자연공원 제도와 달리 재산권 제약 등 규제가 까다롭지 않아 최근 관광자원을 발굴하려는 지자체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지질공원은 지질자원을 보전해 교육과 관광목적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공원 제도다. 환경부는 2012년 지질공원제도를 도입한 이래 3년간 7곳의 지질공원을 인증했다. 7곳의 지질공원은 제주도(2012.12), 울릉도·독도(2012.12), 부산(2013. 12), 청송(2014.4), 강원평화지역(2014.4), 무등산권(2014.12), 한탄·임진강(2015.12) 등이다.
지질공원 인증을 받은 제주 수월봉은 2012년 7만 7,000명이던 방문객 수가 인증 이후 2015년 31만명으로 4배나 증가하는 등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간 생태, 역사, 문화 자원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던 지질유산이 관광자원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지질공원 인증이 지자체의 지속가능발전의 본보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질공원이 각광을 받자 인천 옹진, 전남 여수, 강원 태백·정선·영월, 경북 경주·포항·영덕·울진, 전북 무주·진안·고창·부안 등 13곳의 지자체에서 지질공원 인증을 준비하고 있다. 환경부는 2022년까지 17곳의 지질공원을 지정할 예정이며 이 중 8곳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목표로 할 계획이다.
유네스코에서는 지질유산의 보전, 교육, 관광을 통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곳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하고 있다. 올 현재 33개국 120개 공원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한 바 있다. 2010년 제주도가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됐고 청송 국가지질공원도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해 심사가 진행 중이다.
유태철 환경부 공원생태과장은 “우리나라는 지질학적으로 다양성이 높아 세계적 수준의 지질유산들이 많다”며 “우수한 지질유산을 발굴해 지질공원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려는 지자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