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연령대나 직종, 다문화 교육·활동 경험, 접촉·교류 여부 등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이 차이를 보여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해서는 대상별 눈높이와 상황에 맞춘 다문화 이해교육과 홍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연구 의뢰해 ㈜한국갤럽에서 조사한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번 ‘다문화수용성 조사’는 통계청 승인을 받은 최초 정기조사로 전국 19세~74세 성인 4,000명과 122개 중·고교 재학생 3,640명을 대상으로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등 8개 구성요소별 설문 결과를 종합해 ‘다문화수용성 지수’를 산출했다.
조사 결과,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53.95점, 청소년은 67.63점으로 조사됐다. 성인의 경우 지난 2011년 말에서 2012년 초에 걸친 조사 당시 다문화수용성 지수 51.17점 보다 2.78점 상향돼 종전보다 다문화에 대한 생각이 다소 수용적인 방향으로 변화됐음을 보여준다. 연령대별로는 청소년(중·고생) 67.63점, 20대 57.50점, 30대 56.75점, 40대 54.42점, 50대 51.47점, 60대 이상 48.77점으로 젊은 연령층일수록 다문화에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인 대상 주요 조사항목을 국제지표 항목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수용성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을 우선 고용해야 한다’와 ‘외국인 노동자를 이웃으로 삼지 않겠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자신을 세계시민으로 생각한다’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외국인·이주민을 친척(55.67점), 친구(58.1점), 직장동료(60.38점)로 둔 경우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았으나 단순히 이웃(52.41점)에 사는 경우에는 지수 평균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종별로는 외국인·이주민 다수 취업 업종 종사자의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외국인·이주민과 교류가 많을수록 다문화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나 취업 경쟁이나 생활공간 공유 등 상호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은희 여가부 장관은 “이번 조사결과 다문화이해교육과 활동 경험, 교류 여부 등이 다문화수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문화이해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연령과 직종을 포함한 전 계층에서 다문화가족과 교류,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더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