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재청과 함께 경복궁 내 집옥재(集玉齋, 고종황제의 서재)를 작은도서관으로 조성한다.
1891년 건립된 집옥재는 그동안 고종황제의 서재와 외국사신 접견소로 사용돼 왔다. 문체부는 협길당(協吉堂)과 팔우정(八隅亭)에 연결돼 있는 집옥재의 역사성을 살리기 위해 집옥재를 작은도서관으로, 팔우정을 북카페로 조성했다. 또한 집옥재 내·외부 시설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목재 서가와 열람대, 전시대를 제작하고 소장도서를 두어 작은도서관을 만들었다.
집옥재 작은도서관은 조선시대 관련 책 1,000여 권과 왕실자료의 영인본 350여 권은 물론 외국인을 위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역본 230여 권을 놓는다. 또한 팔우정에서는 궁중다과와 외국에서 인기 있는 우리 문학책의 번역본을 판매해 외국인들에게 경복궁의 아름다움과 함께 휴식 및 문화 체험을 제공한다.
집옥재 작은도서관 개관 행사는 ‘문화가 있는 날’인 27일 오후 3시 경복궁 집옥재 앞마당에서 열린다. 이번 개관 행사에서는 테이프커팅 등 개관식과 ‘문화가 있는 날, 궁을 읽다’라는 주제로 토크콘서트가 진행된다.
문체부 김종덕 장관과 문화재청 나선화 청장,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신숙원 위원장, 문화융성위원회 표재순 위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배용 원장 등 주요 인사와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인근 중·고등학교 학생, 경복궁 관람객 등 200여 명이 이번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토크콘서트에서는 이배용 원장이 집옥재의 역사를 소개하고 역사강사로 잘 알려진 설민석 씨가 특유의 입담으로 고종과 궁에 대한 이야기를 펼친다. 이어 제2기 인문정신문화특별위원인 단국대 김원중 교수가 <격몽요결>의 내용과 함께 조선시대 책 읽기에 대한 교훈 등을 이야기한다. 토크콘서트는 궁과 어울리는 전통 춤 공연(전통무용, 부채춤)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문체부는 참석자 전원에게 조선시대의 대학자 이이 선생이 후학교육을 위해 마련한 정신 수양서이자 현대인에게도 생활지침이 되는 <격몽요결(김원중 옮김)>을 나눠줄 계획이다.
문체부 박위진 문화기반정책관과 문화재청 김대현 문화재활용국장은 “집옥재 작은도서관이 국내외 관광객들이 꼭 한번은 들러야 할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