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환경부는 매년 강우 때마다 고랭지밭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흙탕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항공기, 드론을 활용해 ‘고랭지밭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한다. 고랭지밭 지리정보시스템은 불법 경작지와 수질오염 유발형 경작행태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적도, 항공사진, 드론 촬영, 토지이용현황 등의 정보를 웹방식 형태로 구현한다.
올해는 홍천군 자운지구 고랭지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2018년까지 평창군, 양구군, 인제군, 삼척시, 정선군 등의 고랭지밭에 대해 연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홍천군 자운지구에 대해서는 6월 항공영상을 제작하고 8월까지 고랭지밭의 현황조사를 완료한다. 7월부터 9월에는 고랭지 채소의 파종·수확 시기를 고려해 드론으로 촬영할 계획이다. 11월 말에는 자운지구의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완료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고랭지밭의 흙탕물 저감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침사지 등 흙탕물 저감사업과 병행해 불법경작 확산 방지, 다년생 작물로 작목 전환 유도, 우회수로와 돌망태 옹벽 설치 등 발생원 관리대책도 추진한다.
또한 양구군 해안면 지역에는 고랭지밭의 무분별한 확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비점오염(흙탕물) 마지노선 조성사업’을 한강수계관리기금 사업으로 추진한다. 비점오염 마지노선 조성사업은 양구군 해안면 일원에 일정 고도 이상의 농지개간, 농경지 경작을 원천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생태도로와 수림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아울러 흙탕물 저감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흙탕물이 많이 발생하는 무, 배추, 감자 등의 작목을 사과나 포도 등으로 전환을 유도하고 ‘최적관리기법’을 적용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강복규 환경부 수생태보전과장은 “고랭지밭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과학적인 경작지 관리가 가능해 진다”며 “불법경작지의 원천적 차단과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체계적으로 설치를 통해 흙탕물 발생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