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의료원은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자가 증가하므로 건강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를 겪게 된다. 온열질환 상태에서 방치할 경우 생명이 위태로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5년간의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년 평균 1,128명의 온열질환자가 내원하고 이중 240명이 입원(21%), 96명은 중환자(8.5%)였고 7월 하순에서 8월초 절정을 보이다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아와 노인은 발생빈도가 2배 이상 높아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활동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폭염이 집중되는 낮 12시부터 5시까지는 장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논·밭 혹은 건설업 등 야외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시원한 장소에서 자누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분을 평소보다 많이 섭취해야 한다.
온열질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옷을 벗겨 체온을 낮추고 의식이 있으면 전해질이 함유된 음료를 마시게 한다.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을 방문해 수액 치료를 받도록 하고 체온이 40℃ 이상으로 높고 열사병이 의심되면 응급처치 후 병원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즉시 119로 신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