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유진 기자] 가을철 국립공원 내 사망사고 절반이 심장돌연사로 나타나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일교차가 커지는 10월~11월 사이 심장돌연사의 위험이 높아 가을철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국립공원 내에서 발생했던 사망사고 115건 중 심장돌연사가 58건으로 약 절반을 차지했다. 특히 10월과 11월에 발생한 사망사고 26건 중 심장돌연사는 15건이다.
연중 일교차가 가장 큰 단풍철에는 신체가 갑작스런 기온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심장돌연사 위험이 평소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 산행 중 심장돌연사 예방을 위해 사전에 심폐소생술을 숙지하고 산행에 나서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목격자가 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80% 이상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취하지 못하면 4분만 지나도 생존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심폐소생술을 위해 우선 환자반응을 확인하고 119 또는 국립공원사무소에 신고해야 한다. 이어 호흡확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순으로 가슴압박을 1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를 한 후 인공호흡 2회 연속으로 시행하면 된다.
인공호홉 방법을 모르거나 인공호흡을 꺼리는 구조자는 일반적인 심폐소생술과 달리 가슴압박만을 시행하는 가슴압박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시행해야 하므로 혼자서 하기에는 체력적 소모가 크므로 심폐소생술을 익힌 2~3명의 사람들이 교대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가을 단풍철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출발 전 반드시 자신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맞는 탐방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소 산행을 즐기지 않고 단풍만을 보기 위해 고지대를 목표로 산행하면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국립공원별 저지대 탐방명소를 찾는 것이 좋다. 특히 당뇨 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우 둘레길을 이용하는 것이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김경출 국립공원관리공단 안전방재처장은 “심장마비를 발견한 동반자가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을 평소에 숙지하는 것이 좋다”며 “산행 전에 각 국립공원 사무소의 심폐소생 교육 실습을 이용하는 것을 권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