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에서 ‘제7차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국제워크숍’과 ‘제12차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CEOS) 대기조성가상편대(AC-VC)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과 회의에서는 환경위성 개발 담당부처 공무원, 국내․외 환경위성 전문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해 환경위성 분야의 국제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제7차 정지궤도 환경위성 국제워크숍’에서는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하드웨어(HW) 및 자료처리 알고리즘(SW) 개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위성자료 검·보정 체계 구축과 환경위성 산출 정확도 향상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제12차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 대기조성가상편대 회의’에서는 한·미 국제공동관측(KORUS-AQ)의 결과를 활용한 환경위성 검·보정 관련 논의를 통해 국제협력의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이번 회의에서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 대기조성가상편대 그룹의 공동의장인 미국 항공우주국 제이 알사디(Jay Al-Saadi) 박사는 한·미 국제공동관측(KORUS-AQ)과 환경위성 네트워크 구축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우리나라 환경위성(GEMS)과 세계 3대 정지궤도 환경위성 네트워크를 구성할 미국의 환경위성(TEMPO), 유럽 환경위성(Sentinel-4)과의 협력 체계 마련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 대기조성가상편대 회의’는 환경위성 개발·운영에 필요한 국제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 지구관측위성 분야의 국제협력, 정책, 기술정보 교류 등을 주도하고 있다. 2007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작했고 제11차 회의는 지난해 이탈리아에서 열렸다.
전지구관측위성위원회는 1984년 설립된 지구관측위성 분야의 선도적인 국제위원회로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독일, 일본 등 138개국가 및 지구관측 위성 관련 59개 기관이 가입했다.
장임석 환경위성 사업추진단 단장은 “이번 행사는 환경위성의 과학적·기술적 선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환경위성 개발국 간 협력을 통해 위성자료 정확도 향상과 활용 확대 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