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유진 기자] 내년 ‘자연마당’ 사업지로 부산시 북구와 기장군, 울산시 북구, 전북 부안군 4곳이 추가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주민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생태휴식공간 확충을 위해 내년에 추가로 조성할 ‘자연마당’ 사업지로 부산시 북구 화명동과 기장군 일광면, 울산시 북구 신천동, 전북 부안군 부안읍 4곳을 선정했다.
‘자연마당’은 도시 생활권의 훼손되고 방치된 공간을 복원해 습지, 개울, 초지, 숲 등 다양한 유형의 생물서식처를 조성해 도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면서 시민에게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2012년부터 추진해 서울 노원, 부산 이기대, 대구 동구, 전북 익산, 경북 경산, 충북 청주 등 전국 14곳의 지역에 대해 조성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에 있다. 이번에 4곳이 추가됨에 따라 총 18곳으로 늘어났다.
새로 선정된 4곳은 지자체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제출된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선정지는 면적이 약 5만 8,000㎡이며 아파트가 밀집한 주거지와 접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경작 등으로 훼손돼 생태적 기능을 상실한 지역이다. 넓이가 약 2만 3,000㎡인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선정지는 일광택지지구, 일광천과 접하고 있는 곳으로 경작지로 사용된 이후 장기간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 곳이다.
울산광역시 북구 신천동 선정지는 넓이가 5만 5,000㎡로서 도시 내 남아있는 소나무숲과 불법 경작지가 혼재된 지역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선정지는 약 2만 8,000㎡의 면적으로 도심과 접해 현재까지 논으로 사용된 부지이나 신운천 생태하천복원사업과 연계해 습지 등으로 복원할 지역이다.
환경부는 이번에 선정된 4곳의 ‘자연마당’ 선정지에 대해 총 사업비(1곳당 30억원 내외)의 30%를 국비로 지원하게 되며 지자체에서는 내년에 설계를 완료하고 2019년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말에는 2014년부터 추진해온 대전, 군산, 경산지역 3곳의 자연마당이 완료돼 시민들에게 개방될 예정이다. 특히 대전 도심한복판의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은 콘크리트 광장에서 숲, 습지, 초지 등 생태공간으로 새롭게 거듭난다.
최종원 환경부 자연정책과장은 “자연마당 조성 사업 확대를 통해 도시민들이 자연이 주는 혜택을 보다 많이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 생활권의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