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아시아태평양전쟁(1931~1945) 당시 일제는 수십·수백만 명의 한국인(조선인)들을 강제동원·징용·연행했다. 게다가 1938년 강제동원령인 ‘국가총동원법(國家總動員法)’에 의해 일본·중국·남사할린·남양군도·동남아시아 등지로 끌려간 희생자들은 아직도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실정이다.
그 점에서 “과거를 잃어버린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며 ‘일제 강제동원 한국인희생자 유골 발굴, 국내 봉환, 추모비·추모공원 건립’에 적극 앞장선 (사)아태평화교류협회(www.asiabf.com, 이하 ‘아태협’) 안부수 회장의 행보는 시사성이 크다.
안 회장을 필두로 ‘아태협’은 지난 2004년부터 ‘일제 강제동원 한국인희생자’ 자료 수집과 유골 발굴 등의 작업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총 3차례에 걸쳐 ‘일본 시즈오카·후쿠시마 탄광희생자 유골 177위’의 국내봉환·안치를 이끌었고, ‘유골봉환 자료전시 행사’ 및 ‘일본 조선(한)인 강제동원 시설 세계문화유산 등재 반대 범국민운동’도 전개하며, ‘일제 강제동원 진상과 피해실태’ 등을 국내외에 널리 알려왔다.
또한 ‘아태협’은 일본·필리핀·남태평양지역 등으로 강제 동원된 한인 희생자 유골·무덤발굴을 꾸준히 진행하며 약 3000여명의 유해를 조사·수습했고, 검수 후 국내로 봉환예정이다. 현재도 국내외의 각급 유관단체와 신뢰·협력관계를 형성하며, 일본·중국·필리핀·태국·남양군도 등 해외 18개 지부를 통해 ‘일제 강제동원 한국인희생자 실태조사·유해수습·모국안치 사업’에 전심전력을 쏟고 있다.
안부수 회장은 “광복 72주년을 맞는 지금도 아시아·태평양지역 곳곳에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수많은 유해가 방치돼있다”며 “희생자 유해조사·발굴·고국봉환은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책임지고 보호해야 할 국가의 기본적인 의무이며, 국위를 드높이는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2015년 말일자로 폐지된 국가기관인 (구)대일항쟁기 피해조사지원위원회의 부활 및 대통령직속화’, ‘신뢰와 책임 있는 민간단체 지원강화로 유골조사 가속화’, ‘유족의 DNA 샘플링과 유해대조 작업’, ‘일본정부에서 통보한 약 3000여기 유골의 한국 봉환’ 등이 시급하다고 꼽았다.
특히 안 회장은 “‘국내외 강제동원 희생자들을 위한 독립적인 묘역 조성과 추모비·공원 건립’으로 피해자와 유족을 위로하고, 온 국민과 국제사회에 그 진상과 실태를 홍보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그는 “2015년 ‘강제동원희생자 추모공원건립 발대식’을 열었고, 현재는 가평과 철원을 대상으로 타당성 검토 및 착공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이라며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 발굴·수습, 국내 봉환, 추모비·추모공원 건립 등에 앞으로도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사)아태평화교류협회 안부수 회장은‘일제 강제동원 한국인희생자’ 실태조사·유해수습·모국봉환에 헌신하고, 국내외 강제동원 희생자들을 위한 독립적 묘역 조성 및 추모비·추모공원 건립 추진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7 올해의 신한국인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