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1세션 선도발언을 통해 "기존의 정책으로는 저성장과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 하에 새 정부는 사람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며 각국 정상들에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을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일자리 주도 성장 △공정경제 △혁신성장을 핵심으로 꼽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우선 일자리 창출을 통한 성장과 관련해 "좋은 일자리를 만들면 소득이 증가하고 내수를 견인하여 성장과 일자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며 "공공서비스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고 민간부문 일자리 확대를 유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와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는 공정경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시장 감시 기능을 강화해 불공정 거래 관행을 근절하고, 불합리한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또 "노사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노사정 대타협을 도모하고, 기업 내 합리적인 노사협력 문화 정착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창의와 도전정신으로 경제가 살아나는 혁신 성장이 있어야 한다"며 "교육혁신으로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등 신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으로,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규제 체계 개편을 통해 혁신적인 창업과 신산업 창출이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특히 "세계 경제의 성장 모멘텀 유지를 위해 G20이 마련한 경제 회복력 원칙을 적극 환영한다"며 "글로벌 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신흥국 경제가 위험에 노출되고, 나아가 선진국으로 파급되는 문제에 대응해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가 필요하다"며 "자본 이동과 관련한 국제 규범을 보다 탄력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반대를 분명히 하고, 다자무역 체제 강화와 자유무역주의 질서 확대를 위한 G20의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면서 자유무역 과정에서 중소기업이나 농업 분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