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모두 어려운 상황 속에서 다행히 미국 방문에 이어 G20 정상회의와 함께 많은 단독 회담을 통해 적지 않은 성과를 얻었다고 자평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모든 나라로부터 지지를 받았고, 북핵 문제가 G20의 의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제로 국제적인 공감대를 조성한 것이 성과"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또 "한·미·일 첫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미사일에 대한 공동 방안을 협의한 것도 성과"라며 "독일 베를린 방문에서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구상을 밝힌 것도 큰 의미가 있었다. 당장은 멀어 보이지만 우리가 남북관계를 위해 노력해 가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한다"며 "북한이 선택할 길도 그 길밖에 없다고 본다. 북한의 호응을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그런 성과에도 아직도 북핵 문제 해결의 길이 열리지 않았다는 사실과 당장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한 제재 방안에 대한 국제사회의 합의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우리는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울러 "우리가 뼈저리게 느껴야 하는 것은 우리에게 가장 절박한 한반도의 문제인데도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해결할 힘이 있지 않고, 우리에게 합의를 끌어낼 힘도 없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G20 정상회의의 주요 의제인 자유 무역주의와 기후변화 문제에서도 G20은 합의하지 못했다"며 "각 나라가 국익을 앞세우는 외교를 하는데, 이제 우리도 우리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국익을 관철해 나갈 수 있도록 외교를 다변화하고 외교 역량을 키워 나가야겠다고 절실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동안 외교무대에서 워낙 많은 일이 있어서 많은 시간이 흘러간 느낌인데 막상 귀국해보니 국회 상황은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G20(주요 20개국)회의에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를 비롯한 국제기구들은 한결같이 세계 경기가 회복세에 있다고 진단했다"며 "2015년에 전 세계의 경제 성장률이 3.1%였는데 2016년에 그것이 3.5%로 높아졌고 올해는 3.6%로 전망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러나 국제 정치적으로는 보호주의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각국이 이 경기 상승세를 살려 나가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점을 모든 국제기구들이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것을 들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우리의 추경은 그 방향에 정확하게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2%대에서 탈출시킬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라며 "또 정부조직개편도 새 정부의 정책기조를 살려나가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지만 미국이 FTA 개정 요구를 하고 있는 마당에 그에 대응하는 통상교섭본부를 빨리 구축하기 위해서도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끝으로 "그런 면에서 보면 야당이 다른 것은 몰라도 추경과 정부조직개편을 인사문제나 다른 정치 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추경과 정부조직개편만큼은 야당이 대승적으로 국가를 위해 협조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며 "총리님 이하 정부 각 부처에서도 추경과 정부조직개편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전력을 다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