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천련 기자] ‘사장’은 남성, ‘주방 담당’은 여성으로 묘사하고 날씬해지기 위해 울면서 운동하는 여성의 모습을 그리는 등 성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내용이 공공기관 홍보물에서 다수 발견됐다.
여성가족부는 20개 공공기관 페이스북에 지난 4~5월 두 달간 게시된 1,261건의 홍보동영상과 이미지에 대해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를 실시했다. 이 결과 12개 기관의 17개 홍보물에 문제점을 발견해 9일 해당 기관에 개선 권고했다.
성차별적 홍보물을 유형별로 보면, 성역할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내용이 13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여성이 남성 의존적이라는 편견을 강화하는 내용 2건, 여성을 성적 대상화한 홍보물 1건, 외모지상주의를 조장하는 내용 1건이다.
이 가운데 A기관의 ‘산재예방요율제 안내’ 홍보물의 경우 건설업·제조업 등의 직종은 남성을, 서비스업 직종 종사자는 여성으로 묘사했다. 같은 기관 또 다른 홍보물 ‘근로현장의 안전, 그것이 알고 싶다’도 사장은 남성, 주방 담당은 여성, 배달원은 남성 등 성별고정관념에 기반해 인물을 묘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B기관의 ‘물 부족 문제해결’ 홍보 포스터에서는 물 부족 상황에 직면해 여성은 어쩔 줄 몰라 하는 소극적인 인물로, 남성은 컴퓨터 앞에 앉아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는 인물로 묘사됐다. C기관의 ‘다이어트 상식’ 홍보물은 날씬하지 않은 여성은 눈물을 흘리며 운동에 매진하고 날씬한 여성은 흐뭇해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어 외모 지상주의를 조장할 우려가 제기됐다.
아울러 남녀가 다양한 활동에 균형 있게 참여하는 모습을 그리거나 여성의 주체성을 강조한 공공기관 홍보물 우수사례도 9건 발굴됐다. 근로복지공단에서 게시한 ‘가정의 달 4행시 이벤트’ 홍보물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게 자녀돌봄을 담당하는 모습으로 남성육아 인식 확산에 기여했다. 한국도로공사는 ‘네가 가는 길이 정답이야’라는 홍보물에서 남성들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지던 정비분야에서 당당하게 일하는 여성의 모습을 통해 여성의 주체성을 강조했다.
이숙진 여가부 차관은 “이번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는 홍보물을 대상으로 실시된 첫 사례다. 공공기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파급력과 선도적 역할을 고려할 때 성평등 의식 확산에 큰 의미를 지닌다”며 “각 기관이 소속 직원에 대한 성인지 교육을 실시하고 홍보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