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7일 한일관계 발전방향, 북핵 도발 대응방안 등 상호 관심사 의견을 교환했다고 회담에 배석했던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한·일 두 정상은 오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먼저 북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관련 북한 국제사회 압력 가속화 상황에서 지금은 대화보다 북한에 대한 최대한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어 원유공급 중단 등 지금까지보다 더 강력한 대북 제재안이 담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추진하는 데 공조하기로 했다.
특히 한·일 두 정상은 북한 원유공급 중단 위해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에 동참할 수 있도록 최대한 설득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더 악화돼 통제불능 상황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북한 도발로 한일 양국 국민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양국이 국제사회와 협력하면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반드시 포기하도록 제재와 압박을 최대한 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평화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아울러 아베 총리는 "지난번 유엔 안보리 결의시 북한이 추가도발할 경우 새 결의안 채택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더 강한 내용 포함한 결의안 채택하도록 중국 러시아를 설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일 두 정상은 과거사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특히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고위급 협의를 재개하고 청소년·관광·문화 분야의 인적교류와 실질 협력을 가속화하는 것에도 의견을 모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간 보다 긴밀하게 경험을 공유하면서 협력을 가속화해 나가자"고 했다.
아베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이 도쿄에서 열릴 때 문재인 대통령의 참석을 요청했고 그 이전이라도 문 대통령이 방문해 주신다면 환영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일 삼국회의가 열리면 기꺼이 참석하겠다"며, "아베 총리도 내년 평창 올림픽이 열릴 때 한국을 방문해 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우리 측에서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홍장표 경제수석, 김현철 경제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