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응급환자 이송을 신속하게 해 응급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크게 활약하고 있는 응급의료 전용헬기가 5천명 째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 전용헬기(Air Ambulance)‘(이하 닥터헬기)로 이송한 환자수가 5천명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닥터헬기는 지역 거점응급의료센터에 배치돼 요청 즉시 전문 의료진이 출동하고 첨단 의료장비를 구비해 응급환자 치료와 이송 전용으로 사용하는 헬기다.
우리나라는 수도권과 대도시에 응급의료자원이 집중돼 있어 대형 의료기관으로의 이송이 어려운 도서 및 산간지역은 골든타임을 지키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골든타임은 중증외상 1시간, 심혈관질환 2시간, 뇌혈관질환 3시간 이내 최종치료가 필요하다.
복지부는 도서 및 산간지역 응급환자에게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이후 인천(가천대길병원), 전남(목포한국병원). 강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충남(단국대병원) 등 6개 지역을 닥터헬기 운영지역으로 선정해 닥터헬기를 배치했다.
2011년 9월 국내 최초 운항을 개시한 닥터헬기는 그 해 76명의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했다. 이어 2012년 320명, 2013년 485명, 2014년 950명, 2015년 941명, 2016년 1,196명을 이송하는 등 점차 운영횟수가 증가했다. 올해 1월에는 4천명 돌파에 이어 8개월만인 9월 6일 현재 이송 환자수가 5천명을 돌파했다.
환자들 중에는 중증외상,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3대 중증응급환자 비율이 56.1%다. 그 외 호흡곤란, 화상, 의식저하, 쇼크 등 기타 응급질환환자는 43,9%로 나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닥터헬기 운영지역을 현재 6개에서 11개로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다”며 “지자체와 협조해 배치병원은 물론 소방, 해경 등 구급헬기 운영 기관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