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국내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안전성 평가에서 BMW 520d(99.1점), 벤츠 E220d(97.4점), 기아 스팅어(92.6점)가 ‘2017 올해의 안전한 차’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서울 COEX에서 ‘2017 올해의 안전한 차’ 시상식을 개최해 올해의 안전한 차로 선정된 3개 자동차를 전시하고 해당 제작사에 상패를 수여했다.
이 중 BMW 520d는 2013년 안전도평가 종합등급제 시행 이래 역대 최고점수인 99.1점을 기록해 올해 평가대상 11차종 중에서 최고의 안전성을 자랑했다.
자동차안전도평가는 충돌․보행자․사고예방 안전성 분야로 나눠 안전도를 평가하며 그 결과 올해는 1등급 8차종, 2등급 1차종, 3등급 2차종으로 나타났다. 1등급은 기아 스팅어, 한국지엠 크루즈, 현대 그랜저, i30, 코나, 쌍용 렉스턴, BMW 520d, 벤츠 E220d 8개 차종이다. 2등급은 토요타 프리우스, 3등급은 기아 모닝, 혼다 CR-V 2개 차종이다.
올해는 사고예방안전성 분야의 첨단안전장치에 대한 평가가 대폭 추가됐다. 지난해에는 전방충돌경고장치, 차로이탈경고장치, 좌석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 3가지만을 평가했으나 올해 비상자동제동장치, 차로유지지원장치, 사각지대 감시장치, 첨단에어백 등 첨단안전장치 10가지를 추가했다. 첨단안전장치는 필수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안전장치가 아니지만 13가지 장치를 모두 장착한 BMW 520d와 벤츠 E220d가 사고예방 분야에서 상위를 차지했다.
또한 올해 평가된 11차종의 결과에 대해 자동차 규모별, 가격대별로 비교한 결과 중형은 BMW 520d, 대형은 기아 스팅어가 가장 안전하고 가성비는 현대 i30이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현대 i30은 차량가격이 약 1,900만 원~2,500만 원 수준으로 평가 대상 중 낮은 편이었으나 종합 점수가 92.4점으로 3~4천만 원대의 차량보다 안전성이 동등하거나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올해부터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부상의 정도가 더 큰 여성 운전자의 인체모형과 어린이 인체모형에 대한 충돌안전성 평가를 실시했다. 여성 운전자의 정면 충돌안전성 평균 점수는 16점 만점에 15.2점으로 2016년 남성 운전자 15.1점과 비슷한 수준이나 여성 인체모형이 부상에 더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동차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어린이 탑승객 충돌안전성 평가는 6세, 10세에 해당하는 어린이의 인체모형을 2열 좌석에 착석시켜 부분정면 충돌과 측면 충돌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어린이 충돌안전성 평균 점수는 6세는 8점 만점에 7.0점, 10세는 7.2점으로 나타났다. 충돌유형으로만 보면 부분정면 충돌했을 때가 측면충돌보다 더 크게 다치며 조수석 뒷자리보다 운전자석 뒷좌석에서 더 크게 다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김채규 자동차관리관은 “내년부터는 후방추돌 시 2열 탑승객의 목 상해 평가를 추가 도입하고 올해부터 시행한 어린이 충돌안전성 평가 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강화해 자동차의 안전도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