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내년에 중소기업 노동자가 거주하는 주거지 인근에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이 세워질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중소기업 저소득 맞벌이 노동자가 많이 거주하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을 세울 계획임을 13일 밝혔다.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은 국가와 지자체가 매칭해 운영하고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주거지 인근에 설치되는 새로운 형태의 직장어린이집. 사업주가 통상 사업장 내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기존 직장어린이집과는 차별화 된다.
올해 11월 현재 직장어린이집은 총 1,051개소로 전체 어린이집의 약 2.6%에 불과(보육아동의 약 4.1%)하다. 그 중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은 119개소로 중소기업 노동자들은 직장보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2012년부터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할 경우 설치비를 최대 20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중소기업은 보육수요가 적고 운영상 비용부담이 큰 반면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가 없어 설치가 저조한 상황이다. 과거 고용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이 지역 거점에 공공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해 왔으나 그나마 2003년부터 설치 예산 지원이 중단돼 현재는 총 24개소만이 운영되고 있다.
고용부는 직장어린이집이 사업장 안에 있으면 자녀를 대중교통을 이용해 직장까지 데려와야 하는 측면을 고려해 중소기업 노동자가 거주하는 주거지 인근에 거점 형식으로 어린이집을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에 세워질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 3개소에는 총 163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사업주나 노동자가 별도로 운영비를 부담하지 않고 국가와 해당 지자체가 운영에 드는 비용을 모두 지원할 예정이다.
고용부는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 설치 장소 선정을 위한 지역별 실태조사를 실시해 상반기 중소기업 노동자 밀집, 주거지 인근 등 여러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김영주 고용부 장관은 “정부가 직장어린이집만이라도 확실하게 설치하면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며 “특히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저소득 맞벌이 분들의 육아 지원이 매우 절실한 상황에서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이 그 역할을 해내기를 기대한다고”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