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정부는 21일 화해·치유재단 해산을 추진하고 이날부터 해산을 위한 법적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해산 추진 발표 이후 청문 등 관련 법적 절차를 밟아나간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화해·치유재단은 박근혜정부 때인 지난 2015년 12월 한일 위안부 합의에 의해 2016년 7월 출범했다. 합의문에 따라 재단은 일본이 출연한 10억 엔(약 100억 원)으로 피해자와 그 유족에 대한 치유금 지급 사업을 했고, 생존 피해자 34명(2015년 12월 위안부합의 시점 기준), 사망자 58명(유족 수령)에게 치유금으로 총 44억원이 지급됐다.
10월 말 기준 재단 잔여기금 57억8000만원과 지난 7월 편성된 양성평등기금 사업비 103억원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합리적 처리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여가부는 "외교부가 일본정부와 협의를 진행하는 등 관련 외교적 조치도 함께 취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피해자 중심주의 원칙 아래 화해‧치유재단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 결과 등을 바탕으로 재단의 해산을 추진하게 됐다"며 "여가부는 앞으로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명예·존엄회복을 위한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