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정부는 12일 10시 30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참석한 가운데 6․25 전사자 365위에 대한 합동봉안식을 거행했다.
이날 봉안식은 이 총리를 비롯해 국방부 장관, 보훈단체대표 등 350여명이 참석해 유해 발굴 추진경과 보고와 종교의식, 헌화, 분향, 영현봉송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봉안되는 365위의 국군전사자 유해는 전후방 각지에서 발굴된 288위를 비롯해 DMZ 내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발견된 유해 12위와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봉영한 64위, 지난 7월 한미 상호 봉환행사를 통해 모신 1위다.
국내 각지 288위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과 해병대 33개 사․여단급 부대가 지난 3월부터 11월말까지 양구, 인제, 철원, 파주, 칠곡 등 6·25전쟁 격전지 85개 지역에서 수습한 유해다.
화살머리고지 일대 12위는 남북이 ‘9⸱19군사합의’를 통해 내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남북공동유해발굴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 중에 수습한 유해다.
국군의 날 봉영 64위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의 함경남도 장진, 평안남도 개천지역 등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중 미국 하와이에서 한미 간 공동감식결과 국군전사자로 판명돼 68년 만에 돌아왔다.
한⸱미 상호 봉환행사 1위는 미국 제1기병사단 소속(카투사) 고(故) 윤경혁 일병의 유해로 지난 2001년 북한 평안남도 개천 지역에서 북⸱미 공동 발굴 시 미군 유해와 함께 발굴돼 미국 하와이를 경유해 지난 7월 13일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이날 합동봉안식 이후 국군전사자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소(유해보존실)에 모실 예정이다.
한편, 6·25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나라를 위해 희생된 분들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국가무한책임의 의지 실현을 위해 지난 2000년 4월부터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됐다. 올해 확인된 365위를 포함해 현재까지 발굴한 국군전사자 유해는 모두 10,238위입니다.
한편, 올해 신원이 확인된 호국영웅은 강원도 철원의 DMZ 화살머리고지에서 전사한 고 박재권 이등중사를 포함해 네분으로 지금까지 총 131분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현재까지 수습하지 못한 전사자는 12만 3천여 명, 수습한 전사자 중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은 1만여 명이다. 그러나 현재 6․25전사자 유가족 DNA 확보는 3만 4천여 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는 6․25전사자의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율을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유해발굴관련 인력과 장비, 그리고 유가족 찾기 전담인력을 증원할 계획이다.
정부 측은 “내년에는 남북이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강원도 철원의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사업 추진을 통해 DMZ 내에서 다수의 전우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