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우리 국민의 40% 이상은 3.1운동 이미지로 가장 먼저 유관순(43.9%)을 떠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국민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우리 국민은 3.1운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로 ‘유관순’(43.9%), ‘대한독립만세’(14.0%), ‘독립⸱해방⸱광복’(9.6%) 등을 꼽았다.
3.1운동 정신에 대해서는 ‘자주독립(42.9%)’, ‘애국⸱애족(24.3%)’ 등을, 3.1운동 정신의 계승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친일잔재 청산’(29.8%), ‘역사교과서에 3.1운동 내용 보완’(26.2%) 등으로 답했다.
3.1운동의 가장 큰 역사적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독립에 대한 민족의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림’(41.2%), ‘본격적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시작’(19.4%) 등으로 답변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임시정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는 ‘김구’(31.4%), ‘상해’(11.4%), ‘이승만’(2.7%) 등으로 답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가장 큰 역사적 가치에는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의 구심점 역할’(29.0%),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설립’(28.0%) 순으로 답했다.
친일잔재 청산 여부에 대해 ‘청산되지 않았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80.1%, ‘청산되었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15.5%였다.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정치인, 고위공무원, 재벌 등에 친일파 후손들이 많아서’(48.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는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답변이 69.4%, ‘호감이 간다’는 답변이 19.0%였다. ‘호감이 간다’는 응답 비율은 19~29세 33.3%, 30대 20.3%, 40대 16.4%, 50대 15.7%, 60대 이상 12.9%로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일본과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위해서는 ‘사죄, 보상 등 재검토’(40.6%), ‘역사 공동연구 필요’(25.4%) 등을 꼽았다.
우리나라가 어떤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는지 묻는 질문에는 ‘사회복지가 완비된 나라’(25.8%),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25.2%), ‘민주주의가 완성된 나라’(23.2%) 순으로 답했다.
100년 후 우리나라의 국제사회 정치⸱경제적 위상에 대해서는 ‘중상위권 위치에 있을 것’(54.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100년 후 우리나라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영역은 ‘경제성장’(23.5%), ‘국민갈등 해소’(15.9%), ‘남북군사 대치 해소’(13.8%), ‘국제적 영향력 증대’(11.7%) 등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여론조사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실시됐다. 조사 결과는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공유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