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상가, 공장, 주택 등이 자연재난에 대비해 풍수해보험에 가입하면 최대 92%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 여름철 자연재난 발생에 대비해 해안가, 하천 주변 등 피해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풍수해보험에 미리 가입할 것을 당부했다.
풍수해보험은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상가와 공장,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농·임업용 온실을 대상으로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해일 등으로 인한 재산피해가 발생하면 보상해 주는 정책보험으로 행안부가 관장한다.
해당 시설 소유자와 세입자는 보장기간 최대 3년까지 DB손해보험, 현대해상화재보험, 삼성화재보험, KB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 5개사에 개별적으로 또는 관할 지자체를 통해 단체로 가입할 수 있다.
보험가입자는 정부로부터 연간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받는다. 지자체 재정여건에 따라 일반 52.5~92%, 차상위계층 75~92%, 기초생활수급자 86.2~92%, 소상공인은 34%~92%까지 보험료를 지원받게 된다. 피해 보상은 전파, 반파, 소파 등 피해규모에 따라 보상하는 정액형 상품과 실제 피해금액을 보상하는 실손형 상품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올해 풍수해보험 소상공인 대상 시범사업 지역이 지난해 22개에서 37개 시·군·구로 늘어나고 내년에는 전국으로 확대된다. 소규모 농가도 가입할 수 있도록 온실 가입면적제한(100㎡ 이상)을 없애고 ‘지진으로 인한 화재’도 보상하도록 했다.
앞으로 보험사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소상공인 재고자산에 대한 보험가입금액 한도도 3천만 원에서 5천만 원으로 늘리고 화재 특약 등 다양한 보험 상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기상이변 등으로 자연재난의 위험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사유재산에 대한 정부의 무상복구지원은 한계가 있다”며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풍수해보험에 적극적인 가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