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싶어도 가까운 곳에 지원을 받아주는 기관이 없어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못하거나 먼 곳까지 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학교 밖 청소년이 자원봉사활동을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원시스템’을 개선하도록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권고했다.
학교 밖 청소년은 초등학교, 중학교 등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 입학한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고등학교 또는 이와 동일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서 자퇴하거나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 등이다.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공공도서관, 요양원, 혈액원 등의 기관이나 단체를 통해 자원봉사에 참가할 청소년 참가자를 모집하기 위해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자원봉사는 체험활동과 입시준비 등을 위해 하는 것으로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물론 학교 밖 청소년에게도 필요하다. 하지만 봉사활동 지원을 받는 상당수 기관과 단체에서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위주로 모집하고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모집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권익위가 봉사활동 모집기관을 각 광역단위별로 확인한 결과, 조사대상 총 328개 중 학교 밖 청소년을 모집하지 않는 기관은 74.1%인 243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학교 밖 청소년의 봉사활동 신청이 어렵고 불편하다는 민원도 제기되고 있었다.
권익위는 봉사활동 모집기관에서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봉사활동 모집 시 학교 밖 청소년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올해 12월까지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했다. 또한 각 기관이나 단체에서 자원봉사자 접수 시 학교 밖 청소년을 적극 모집하도록 시스템 사용설명서에 반영하도록 했다.
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을 지원할 때 불편함이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