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국민들이 자주 찾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와 전시·교육 행사가 더욱 풍성해진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행정안전부는 박물관 문화서비스 확대와 국민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방박물관을 포함한 국립박물관 조직 개편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30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으로 지방박물관 중 방문객 수가 가장 많은 경주박물관은 기존 ‘학예연구실’이 ‘학예연구과’와 ‘교육문화교류과’로 확대된다. 2018년 기준 경주박물관 연간 방문객 수는 110만 명이다. 외국인과 학생 등의 방문이 늘어남에 따라 이에 맞는 문화행사 기획과 박물관 교육 서비스를 늘리기 위한 것.
대구박물관은 관장 직급이 고위공무원단으로 격상된다. 이는 시설과 소장품, 발굴문화 출토 규모 등 업무 환경에 걸맞게 위상을 정립하고 인근 문화기관과의 원활한 협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광주박물관과 전주박물관, 대구박물관은 소장품 관리와 지역 문화행사⸱박물관교육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학예연구사를 각각 기존 33명에서 35명, 25명에서 27명으로 증원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미래전략담당관’과 ‘박물관정보화과’를 새롭게 설치해 디지털 콘텐츠를 늘려 국민의 박물관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문체부 측은 “이번 조직 개편은 과거 지방박물관의 기구·인력이 부족해 국민들의 문화향유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중앙박물관도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데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며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고 더욱 수준 높은 문화서비스를 제공해 국민들에게 더 가까이 가는 국립박물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