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올해 4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4만9천 톤으로 지난해 4월 4만6천 톤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4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지난해 4월에 비해 7%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4,753톤, 청어 3,119톤, 가자미류 1,980톤, 삼치 1,868톤, 붉은대게 1,665톤, 갈치 1,178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로는 삼치(154%), 전갱이(76%), 멸치(48%) 등의 생산량은 전년 보다 증가했다. 가자미류, 청어는 전년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꽃게(49%), 고등어(70%), 갈치(49%), 붉은대게(28%)는 전년 보다 감소했다.
멸치는 남해 동부 연안에서 따뜻한 수온(평년대비 0.5~1℃↑)이 지속돼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몰려오는 어군이 증가하면서 정치망어업(경남)과 근해자망어업(부산)에서 어획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삼치는 최근 대마난류세력 강화로 제주 주변과 남해 수온(평년대비 0.5~1.5℃↑)이 높아 제주 서부어장에서의 어군밀도가 상승을 유지하면서 대형쌍끌이저인망과 대형선망어업에서 어획량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꽃게는 봄 어기(4~6월) 시작에도 불구하고 주요어장인 연평도·서해특정해역에서의 낮은 수온(평년대비 약 1℃↓) 영향으로 어장형성이 부진하면서 연근해자망어업(인천)과 근해안강망(충남)어업에서 어획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갈치는 어황이 좋았던 지난해 비해 동중국해 수온이 0.5~2℃ 낮게 형성되면서 제주 주변해역에서 대형선망어업과 근해연승어업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다.
한편, 4월 연근해어업 생산금액은 전년 2,832억 원에 비해 2.4% 감소한 2,765억 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은 삼치(82억)가 전년보다 179%, 멸치(80억)가 31% 증가한 반면 꽃게(221억)는 31%, 갈치(115억)는 29%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