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국민들이 박물관과 미술관을 일상생활 속에서 더 가까이 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내용의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을 24일 발표했다.
먼저 박물관·미술관의 수는 2013년 911개에서 지난해 1,124개로 양적으로 증가했으나 1개관당 인구수 기준으로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수준에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국의 박물관·미술관을 올해 1개관당 인구수 4만5천 명에서 2023년까지 3만9천 명 수준으로 올려 박물관 1013개, 미술관은 297개로 조성할 계획이다.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박물관·미술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100명당 1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2023년까지 30% 수준으로 높여 많은 사람이 일상생활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을 찾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제1종 박물관은 분야별 소장품과 학예인력 여부에 따라 종합박물관과 전문박물관으로 나뉘어 있는데 구분 경계가 모호하고 실효성도 적다는 지적이 제기돼 구분을 없애고 일원화하기로 했다.
동물원, 수족관 등 다른 법률에 규정된 시설과 ‘문화의 집’과 같이 박물관으로서 기능이 약화된 시설은 박물관에서 제외하는 등 박물관 유형을 간소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 박물관 위주의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공·사립 미술관 소장품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소장품 등록인력 지원을 미술관까지 확대한다. 또한 지자체가 광역 공동수장고를 건립할 때 건립비의 50%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공·사립 박물관·미술관에 국립관의 보존처리기술 지원을 확대해 중요 국가적 자산에 대한 훼손, 소실을 예방할 계획이다.
주변 박물관·미술관 현황과 진행되고 있는 전시·프로그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한 장애인, 노인 등의 시설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모든 박물관·미술관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 취득을 촉진하고 접근성 강화를 위한 공간조성·전시기법·서비스 등에 대한 지침도 수립할 방침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전국의 박물관·미술관이 우리 국민들에게 더욱 자주 찾고 싶은 친근하고 유익한 문화시설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 앞으로 시도별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관련 법·제도 개선과 예산 확보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