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이 67개국에서 66개국으로 변경된다.
질병관리본부는 해외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동향을 반영해 7월부터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기존 67개국에서 66개국으로 변경해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남수단이 콜레라, 시리아가 폴리오 오염지역에서 해제되고 AI인체감염증 오염지역으로 지정된 중국의 경우 기존 9개 성·시에서 광둥성, 광시좡족자치구, 윈난성, 장쑤성, 후난성 5개 성·시로 축소됐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은 세계보건기구(WHO), 현지공관 등의 감염병 발생 정보를 근거로 반기별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현재 해외에서 발생 중인 검역감염병은 콜레라, 페스트,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 폴리오 6종이다.
질병본부는 건강하고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 여행 전 ‘해외감염병NOW.kr’ 누리집, 감염병 콜센터(1339)를 통해 방문국가의 감염병 발생여부와 예방수칙을 확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특히 콩고민주공화국은 에볼라바이러스병이 지속 유행하고 있어 콩고민주공화국과 인접국가인 우간다, 르완다, 남수단, 부룬디 방문 시 현지 동물은 물론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개인위생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체류 또는 경유한 사람은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귀가 후 발열, 기침, 설사 등 감염병 증상 발생 시 에는 의료기관 방문 전 인근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신고해야 한다.
해외 감염병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하지 않은 경우라도 입국 시 발열, 기침, 설사 등 감염병 의심 증상이 있다면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