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가는 인파가 많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안전부가 주의를 당부했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6~8월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기간 중 물놀이로 인해 총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휴가 기간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간 사고가 집중돼 전체 사망자의 85%(140명)를 차지했다.
원인별로는 수영미숙으로 인한 사망자가 31%(51명)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부주의 22%(36명), 음주수영 17%(28명), 튜브전복 10%(16명)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사망자 수는 10대 이하가 30%(50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어린 자녀나 학생들과 물놀이를 가는 보호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물놀이 사망사고는 안전시설을 갖추고 물놀이 시설로 관리되는 해수욕장이나 유원지보다는 하천이나 강(87명, 53%), 바닷가(30명, 18%), 계곡(24명, 15%)에서 많이 발생한다.
무엇보다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기려면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차가운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준비운동을 철저히 하고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경우 재빨리 물에서 나와 몸을 말리고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을 찾는다.
어린이의 경우 사탕이나 껌을 입에 넣은 채로 수영을 하면 물이 코나 입으로 들어오면서 기도가 막히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위험상황에 대한 판단능력이나 대처능력이 저하되므로 절대 입수하지 않는다.
안전시설과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를 이용하고 사고가 발생했거나 입수가 금지된 지역에서는 절대 물놀이를 하지 않는다. 입수하기 전에 깊은 곳이나 바위가 많은 곳 등 위험한 지역을 미리 파악해 둔다. 기상악화로 수량이 증가하거나 물살이 강해지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물가에서 벗어난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물놀이 안전사고는 수영미숙, 음주수영과 같은 부주의가 사망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다”며 “물놀이를 즐길 때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주기를 바란다”고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