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올해 5월 삼치, 멸치, 오징어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갈치, 붉은대게, 꽃게의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5만4천 톤으로 지난해 5만1천 톤에 비해 5%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9,391톤, 청어 2,873톤, 붉은대게 1,424톤, 삼치 1,325톤, 가자미류 1,319톤, 꽃게 1,167톤, 오징어 844톤 등이다.
어종별 증감 추이를 보면 삼치(356%), 멸치(27%), 오징어(15%) 등의 생산량이 전년 보다 증가했다. 갈치(44%), 붉은대게(30%), 꽃게(28%)는 전년 보다 생산량이 감소했다. 가자미류는 전년 수준으로 나타났다.
멸치는 지난달에 이어 남해 연근해에서 평년 보다 높은(0.5~1.5℃) 수온이 지속돼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회유하는 어군이 증가하면서 정치망어업(경남)과 근해자망어업(부산, 전남)의 어획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삼치도 최근 대마난류세력 강화로 제주 주변과 남해 수온이 평년 보다 높게(0.5~1.5℃) 형성돼 제주 서부해역에서 어군밀도가 증가하면서 대형쌍끌이저인망어업의 어획량이 크게 늘었다.
반면 갈치는 어황이 좋았던 지난해 비해 동중국해 서부해역의 수온이 전반적으로 0.5~2℃ 낮게 형성되면서 어군의 북상회유가 지연됨에 따라 제주지역 근해연승어업과 연안복합어업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다.
꽃게는 봄철인 4~6월이 주 어획시기이나 꽃게 회유경로로 알려져 있는 동중국해 서부해역~서해연안에 걸쳐 평년에 비해 저수온(약 1℃) 경향이 이어지면서 어장 형성이 부진했다. 특히 인천, 충남, 전북지역의 근해자망과 연안자망어업의 어획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생산금액은 전년 3,305억 원에 비해 5.5% 감소한 3,124억 원으로 집계됐다. 어종별로는 삼치(43억) 187%, 청어(47억) 35%, 오징어(93억) 24%, 멸치(150억) 15% 등이 증가했다. 꽃게(412억)는 어획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갈치(96억)는 전년대비 39% 감소했고 가자미류(114억)도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