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지난해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은 기관장이 99.8%, 공공부문 관리자가 88.1%로 고위직의 참여율이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공공기관의 ‘2018년 성희롱·성폭력·성매매·가정폭력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 실적’ 점검 결과를 9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정부는 공공기관 장을 대상으로 한 폭력예방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각 종사자의 참여율도 전년에 비해 다소 상승(0.4%p)했다.
특히 국가기관 국장급, 대학 전임교원 이상 등 고위직 참여율은 전년에 비해 3.9%p 증가한 88.1%, 기관장 참여율 99.8% 등 기관 내 핵심관리자의 예방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폭력예방교육에 앞장서야 할 교육기관 참여율이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학 고위직 참여율은 75.1%로 전년보다 4.9%p 증가했으나 전체 고위직 참여율(88.1%)에 비해 낮았다. 대학의 경우 학생의 예방교육 참여율은 42.7%로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조직 내 성희롱 등 고충상담 사건처리를 위한 성희롱 예방지침 마련(99.9%), 고충상담 창구 설치(99.5%), 고충상담원 지정(99.9%) 등 대다수의 기관에서 제도적인 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원 전문교육 이수 현황이 전년대비 22.7%p 크게 증가해 기관 내 사건처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관장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거나 고위직 참여율이 50% 미만인 경우 부진기관으로 선정된다. 올해 선정된 부진기관은 176개소(전체 기관 중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이번 실적 점검 결과를 토대로 향후 부진기관 관리와 대학의 예방교육 참여율 제고, 고충상담원 교육 다양화 등 미흡한 분야 개선에 주력할 방침이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지난해 시작된 미투운동이 학계, 문화계, 체육계로까지 확대되면서 성희롱⸱성폭력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성희롱, 성폭력의 심각성과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