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배송체계가 미흡한 농촌, 어촌, 산촌 10곳에 드론배송 기지가 구축된다.
행정안전부는 우정사업본부, 충청남도, 전라남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운영’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지난 31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운영은 배송체계가 미흡한 농촌, 어촌, 산촌에 도로명주소 기반의 드론배송 체계를 활용해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해 배달점 주소 부여가 가능하고 배달점의 위치 찾기가 쉬워질 전망이다.
이번 협약식은 산업부가 추진 중인 드론활용 배송실증사업과 연계해 행안부가 주소기반의 드론배달점을 설치하고 실제 운용을 통해 공공시장 창출의 첫 걸음을 디뎠다는데 의미가 있다.
행안부는 올해부터 4년간 전국의 도서·오지에 10곳의 드론 기지를 구축하고 드론운영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배송서비스 운영, 충남과 전남은 주민들을 위한 드론배송의 선도적 운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드론 운영기술 지원, 한국국토정보공사는 드론 기지운영 전문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서는 가시권 밖 두 개의 배달점을 돌아오는 드론 배송 시연이 있었다. 당진 전력문화홍보관(충청남도)에서 출발한 드론은 난지도와 소난지도를 거쳐 다시 전력문화홍보관으로 복귀했다. 이 구간을 선박으로 배송할 경우 2시간이 소요되나 드론으로는 20분 만에 배송을 완료했다. 시연에 사용된 드론은 산업부의 배송실증사업용으로 10∼60㎞/h 속도로 10㎏의 짐을 싣고 반경 10㎞를 왕복할 수 있는 기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