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올 상반기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지난해 비해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근해어업생산량은 38만 톤으로 지난해 35만 5천 톤에 비해 7.2%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6만 4천 톤, 고등어 2만 2천 톤, 오징어 1만 9천 톤, 청어 1만 8천 톤, 삼치 1만 2천 톤, 갈치 1만 톤, 붉은대게 9천 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로는 오징어(98%), 삼치(53%), 전갱이(45%), 멸치(30%) 등의 생산량이 전년 보다 증가했다. 반면 가자미류, 청어, 참조기는 전년 수준이다. 갈치(39%), 고등어(35%), 꽃게(28%), 붉은대게(25%)는 전년 보다 생산량이 감소했다.
오징어는 지난 겨울 평년 대비 온난한 환경조건에 의해 적정한 산란장이 형성된 것이 어획량 증가 원인으로 파악된다. 또한 1~3월 오징어 남하, 5~6월 북상 회유시기에 각각 평년 대비 고수온, 저수온 현상으로 동해안에서의 어장형성 시기가 길어지며 어군밀도가 증가한 것도 어획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삼치는 상반기 대마난류 세력 강화의 영향으로 제주 주변과 남해 수온이 평년보다 0.5~1.5℃ 높게 형성돼 제주 서부해역에서 어군밀도가 증가하면서 어획량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갈치는 겨울철 동중국해에서 월동하던 어군이 북상 회유하는 4~6월 동안 동중국해 중서부해역에서 저수온(평년 대비 0.5~2℃)현상이 지속돼 어군의 회유시기가 늦어지면서 전년에 비해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다.
꽃게는 4~6월 봄어기 주요 회유경로인 동중국해 서부해역~서해연안의 평년 대비 저수온 현상으로 연안으로 내유하는 어군이 크게 줄면서 어장 형성이 부진했다.
붉은대게는 업종 간의 조업경쟁이 지속되면서 자원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보이며 최근 5년간의 어획량 감소추세가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졌다.
아울러 생산액은 전년 1조6,877억 원과 비슷한 수준인 1조7,013억 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 생산액은 오징어(1,526억) 93%, 삼치(508억) 46%, 전갱이(60억) 37%가 전년 보다 증가했다. 멸치(893억), 가자미류(848억), 꽃게(847억), 붉은대게(595억), 고등어(302억), 청어(205억)는 전년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갈치(894억)는 전년 보다 30%, 참조기(205억)는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