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여성가족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0차 청소년정책위원회를 열고 가출청소년 맞춤형 지원을 위한 청소년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이번 회의에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민간위원이 참석해 청소년 가출 등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위기청소년의 특성과 유형을 고려한 청소년 복지시설 재구조화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또한 만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들의 공적 신분증 역할을 하는 ‘청소년증’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 간 협력 방안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다.
위원회는 이날 첫 번째 안건으로 ‘청소년쉼터·청소년자립지원관 운영 개편방안’을 심의 확정한다. 위기청소년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맞춤형 지원 강화 일환으로 쉼터 유형을 기능 중심으로 통합 개편해 각각의 기능에 보다 충실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리상담 전문요원을 확대 배치해 위기청소년의 발굴과 긴급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경찰과 지자체 등 청소년 관련기관과 연합해 거리상담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거리상담 전문요원은 지난해 60명, 올해 90명으로 내년에는 124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자립 단계에서 가정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쉼터 퇴소 청소년에게 청년 매입⸱전세임대주택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기로 했다. 또한 청소년의 자립을 중점 지원하는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올해 6개소에서 내년 16개소로 확대해 19~24세 후기청소년을 위한 체계적인 자립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