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대형마트에 종이상자가 사리지게 된다.
환경부는 농협하나로유통,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4개 대형마트를 비롯해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함께 ‘장바구니 사용 활성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가든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협약은 종이상자(빈박스)를 쓰지 않는 제주도 지역의 대형마트 성공사례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불필요한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장바구니 사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제주도 현지 중형마트인 제스코마트⸱ 컴마트⸱진영마트 등 6곳과 대형마트 4곳은 제주도와 업무협약을 맺고 2016년 9월부터 자율포장대에 두던 종이상자, 플라스틱으로 만든 포장테이프와 끈을 모두 치웠다. 필요한 경우 종량제 봉투나 종이상자를 구입할 수 있게 하고 장바구니를 대여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 측은 “3년이 지난 지금 제주도 대형마트 이용자의 대부분이 종이상자를 쓰지 않고 있고 장바구니 사용이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했다.
대형마트들은 2~3개월 홍보기간을 거쳐 제주도의 성공사례를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바구니 제작, 보급, 대여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대형마트에서는 종이상자 제공으로 장바구니 이용이 저조하며 자율포장대 운영으로 포장용 테이프나 끈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3개사 기준 연간 658톤, 상암구장(9,126㎡) 약 857개 분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는 등 2차 환경오염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포장재가 폐기물이 되는 것은 잠깐이므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조금만 바꾸면 불필요한 폐기물을 만들지 않을 수 있다”며 “생산·유통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