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5, 6일 이틀 간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2019 원헬스(One Health) 항생제 내성균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유행은 치료제가 없는 신종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지니며 사망률 증가, 치료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 등으로 공중보건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까지 내성균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0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예측이 2016년 5월 영국 정부 Jim O’Neill 보고서에 실리기도 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항생제내성균 감소를 위한 정책발전을 위해 마련된 만큼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항생제 내성 연구 전문가들이 참석하게 된다.
5일은 ‘항생제 내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항생제 내성 전파’라는 두 개의 분과(세션)로 구성된 학술토론회(심포지엄)이 진행된다. 6일은 원헬스 항생제 내성 및 Kor-GLASS(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 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국내 관련 연구자들을 위한 공동연수 형태로 진행된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항생제 내성균의 전파와 내성 현황’이라는 주제로 국외연자 6인, 국내연자 17인의 주제 강연과 토의가 이루어지게 된다.
세계보건기구(WHO) 항생제 내성 사무국 담당관인 카르멤 페소(Carmem L Pessoa-Silva), 덴마크 Statens Serum Institute(SSI)의 항생제 내성연구팀장 앤더스 러슨(Anders Rod Larsen) 등 6명의 세계적인 석학들이 각 국가별 항생제 내성 연구 현황, 항생제 내성균 감시 시스템에 대해 발표한다.
국내에서는 17명의 전문가와 정부관계자들이 사람, 동물, 환경 각 분야에서의 항생제 내성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원헬스 차원의 항생제 내성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공유한다.
특히 대한감염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 대한예방수의학회, 대한임상미생물학회,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가 ‘각 학회에서 바라본 항생제 내성’이라는 주제로 항생제 내성 연구 방향과 현 항생제 내성 문제점 등을 짚어본다.
질병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원헬스 개념을 바탕으로 한 다분야 항생제 내성 연구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부처 간 연구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