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정부는 17일 서울 홍릉 콘텐츠문화광장에서 ‘대한민국 콘텐츠, 빛이 되다’ 행사를 개최하고 콘텐츠산업을 혁신성장 시대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을 통해 콘텐츠 분야에 연간 1조7천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이 운영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큰 기획, 개발 단계 기업이나 소외 분야 기업 등은 투자받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내년부터 ‘콘텐츠 모험투자펀드’가 신설돼 기획, 개발, 제작 초기 단계에 있거나 기존에 투자가 어려웠던 분야의 기업도 가능성만 있다면 투자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4,5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신용보증기금의 ‘콘텐츠 특화 기업보증’도 확대한다. 콘텐츠 기업들은 물적 담보가 부족해 대출이 어렵다. '콘텐츠 특화 기업보증'을 확대해 2022년까지 추가로 1천억 원을 공급할 계획이다.
여기에 콘텐츠 특화 기업보증 1천억 원, 콘텐츠 완성보증 2,200억 원, 일반 기업보증 4,200억 원 총 7,400억 원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기업도 투자를 받을 수 있어 다양한 작품 제작이 활성화되고 원활한 운영자금 공급으로 매출액 100억 원 이상 기업 수가 현재 1,700여 개에서 2,000개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되는 공공·산업·과학기술 분야에도 가상⸱증강현실의 실감콘텐츠를 접목한 ‘XR(가상‧증강현실을 통칭)+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XR+α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국방(증강현실 원격전투지휘), 교육(대학 홀로그램 원격교육), 의료(가상현실 수술 시뮬레이션), 정비(증강현실 매뉴얼 정비)등의 분야에 적용한다.
아울러 콘텐츠 수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수출허브’를 운영하고 콘텐츠 수출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역량진단-구매자 연결 등 ‘수출지원 종합묶음(패키지)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콘텐츠 전문 번역 인력도 양성하고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진출 증가를 반영해 해외 홍보용 영상콘텐츠 제작도 지원한다.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콘텐츠산업은 창작자의 상상력과 꿈이 사람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는 산업이다”며 “창작자가 꿈을 실현하고 한국 콘텐츠산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힘을 합쳐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