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승희 기자] 서해권역에 LNG벙커링 인프라가 구축된다.
해양수산부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상대적으로 LNG벙커링 인프라가 부족한 서해권역을 지원하기 위한 관계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정부는 지난해 5월 ‘LNG 추진선박 연관산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고 민간의 LNG 추진선박 발주를 지원해 왔다.
업무협약에는 해수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가스공사, 한국중부발전, SK E&S, 현대글로비스, 한국선급,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 에이치라인해운, SK해운까지 총 10개 기관이 참여한다.
해운업계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해운규제로 꼽히는 ‘국제해사기구(IMO) 2020’의 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다. IMO는 선박의 항로, 교통규칙, 항만시설 등을 국제적으로 통일하기 위해 설치된 유엔 전문기구다.
‘IMO 2020’은 내년 1월부터 전 세계 선박용 연료유의 황 함유량 기준을 기존 3.5%에서 0.5%로 강화하는 조치다. 또한 개별 국가들이 자국 내 해역을 배출규제해역으로 지정하며 해운산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배출규제해역은 선박 연료유의 황 함유량 기준을 내년 기준 일반해역의 0.5% 보다 강화된 0.1%를 적용하는 해역이다.
LNG는 기존 선박연료인 벙커C유 보다 황산화물(SOx) 100%, 질소산화물(NOx) 80%, 미세먼지 90%를 저감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는 현재까지 총 11척의 LNG 추진선박이 운영(운항 예정 포함)되고 있다.
해수부 측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서해권역의 LNG벙커링 인프라를 확충해 LNG 추진선박 도입을 활성화함으로써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