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유리제조업, 비철금속, 지역난방 등 7개 업종도 미세먼지 감축에 동참한다.
환경부는 1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유리제조, 비철금속, 제지제조, 지역난방, 공공발전, 시멘트제조, 건설 7개 업종 43개 업체와 ‘고농도 계절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은 지난 12월 3일 제철, 제강, 민간발전, 석유정제, 석유화학 5개 업종과 체결 이후 2번째로 진행된다.
건설을 제외한 6개 업종 32개 업체는 총 52개의 사업장을 운영 중으로 해당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지난해 기준 연간 17만 톤에 이른다. 이는 굴뚝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625개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연간 33만 톤 중 약 54%를 차지한다.
건설 업종에는 시공능력 평가 기준 11위까지의 건설사가 참여한다. 2016년 기준 건설공사장의 날림(비산)먼지 배출량은 약 3,500톤(PM10)으로 전체 날림먼지 배출량의 15%를 차지한다.
협약에 참여한 7개 업종 사업장은 고농도 계절기간 동안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 사업장별로 현행법상 배출허용기준 보다 강화된 배출농도를 자체적으로 설정해 운영한다.
황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한 저유황탄 사용과 탈황설비 개선도 추진한다. 질소산화물을 적게 배출하는 저녹스버너를 조기에 설치하고 환원제 투입량을 늘리는 등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운영을 최적화한다.
또한 올해 12월~내년 3월까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에 정기보수나 경유를 사용하는 비상용 발전시설 시험 가동을 자제한다.
내년 4월 의무 공개에 앞서 협약에 참여한 사업장은 굴뚝자동측정기기 실시간 측정결과를 시범적으로 우선 공개한다.
아울러 건설 공사장에서는 간이측정기를 활용해 공사장 내 날림먼지를 측정하고 전광판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저공해 조치가 되지 않은 노후건설기계 사용도 단계적으로 제한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갈탄 사용을 자제한다.
유제철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산업계와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며 “산업계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고농도 계절기간 미세먼지 감축에 적극 협력해 줄 것을 참여기업들에게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