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1989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2.97mm씩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30년간의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 결과,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 부근(연 4.26mm)이 가장 높았다. 이어 동해안(연 3.50mm), 서해안(연 2.48mm), 남해안(연 2.44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는 제주가 연 5.43mm로 가장 높았고 울릉도(연 5.13mm), 포항(연 4.55mm), 거문도(연 4.39mm), 가덕도(연 4.22mm) 순이었다.
또한 지난 30년간(1989~2018) 해수면 상승률(연 2.97mm) 보다 최근 10년간(2009~2018) 해수면 상승률(연 3.48mm)이 빠르게 높아졌다.
동해안의 경우 지난 30년간 해수면 상승률이 연 3.50mm에서 최근 10년간 연 4.86mm로, 남해안은 연 2.44mm에서 연 3.59mm로 높아졌다. 제주 부근은 소폭 상승(연 0.15mm)했다. 서해안은 연 2.48mm에서 연 2.02mm로 유일하게 상승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 현황 분석과 미래 전망은 연안관리와 개발, 국가 기후변화 정책 추진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며 “급격한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수면 변동 연구를 지속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