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과거 약 115년간 외국군의 주둔지였던 용산공원이 국민의 품으로 돌아온다.
정부는 23일 용산공원 조성에 관한 현황과 향후 추진과제 등을 논의하는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먼저 용산공원 구역을 약 243만㎡에서 약 303만㎡으로 60만㎡ 확장된다. 용산공원 북단의 구 방위사업청 부지와 군인아파트 부지는 용산공원 경계 내로 편입된다. 또한 용산기지 인근 중앙박물관, 전쟁기념관, 용산가족공원도 용산공원 구역 내로 편입된다. 경계 확장을 반영 내년 이후 용산공원정비구역을 고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을 연결하고 용산공원 남측과 북측의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국민이 주인이 되는 용산공원 조성을 위해 국민 참여형 용산공원 실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먼저 내년 1~6월 조경, 환경, 건축, 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실행계획안을 보완하고 7~12월 대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마지막 단계로 2021년 6월 국민 참여단을 구성해 실행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기지가 반환되기 이전에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마련된다. 미군으로부터 이미 돌려받았으나 1986년부터 올해 11월까지 미군이 임차해 사용했던 외인아파트를 유지보수 후 내년 하반기 5단지부터 단기 체류형 숙박시설, 작은 도서관, 용산 아카이브 전시관 등 국민 체험 공간을 개방한다.
또한 기지 내부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버스투어를 확대 미래세대, 소외지역 주민 등을 초청하는 테마형 그룹투어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지금까지는 미군 측의 보안상 이유로 시설물 외관 육안조사만 허용됐으나 미군의 평택 이전으로 빈 건물이 늘어나면서 기지 내 주요 시설물에 대해 내부 정밀조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내년 상반기 시설물 전체에 대한 기본조사를 실시하고 7~9월까지 보존가치가 높은 시설물은 정밀안전진단과 3D 촬영을 병행한다. 이어 10~12월까지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존치가 필요한 주요 시설물을 대상으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