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해양수산부는 지난 27일 국가감염병 위기경보가 ‘경계’ 단계로 격상된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항만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위기대응 대책반을 각 지방청에 구성해 운영 중이다.
먼저 한-중 국제여객선의 경우 14개사가 16항로에 17척을 운항해 지난해 기준 연간 약 200만명을 운송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한-중 국제여객선은 중국 춘절 등으로 모든 여객선이 휴항했으나 28일 평택항에 입항하는 오리엔탈펄8호(中영성-평택, 여객정원 1,500명)를 시작으로 운항이 일부 재개됐다.
한-중 국제여객선 항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국내항 입항 전 장시간 운항시간을 고려해 승선 전과 운항 중 선내에서 자체적으로 여객과 승무원을 대상으로 체온 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운항 중 선내에서 발열, 기침 등 의심증상자 발생 시에는 감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선내 격리공간을 확보하도록 했다.
또한 국립검역소에서 ‘승선검역’ 시행 시 여객선사 직원들이 통역과 건강상태질의서 사전 작성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선내 여객을 위해 마스크, 손 세정제 등 방역비품을 두고 여객과 접촉하는 선원, 선사 육상직원 등도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조치했다.
국내 항만에 들어오는 중국 기항 화물선은 지난해 기준 약 2만3천척으로 국립검역소 등과 입항 정보를 공유해 중국항만을 기항한 모든 선박에 대해 승선검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하고 있다.
중국을 기항한 선박이 국내항 입항 시 선원이 육상터미널과 통선을 이용해 하선 또는 일시 상륙하는 경우 출입기록을 철저히 관리하고 검역관계기관(CIQ)과 협조해 검역조치가 누락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다.
한-중 국제여객선의 경우 28일 운항 재개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단체와 개인 여행객 취소 등으로 여객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선사는 자체적으로 화물 중심의 운영, 운항 항차 조정 등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오는 31일 오후 문성혁 해수부 장관이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방문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검역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