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난해 산재노동자의 직업복귀율이 전년 대비 3.2%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노동자 직업복귀율이 70%대 진입을 앞두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2017년 63.5%에서 2018년 65.3%, 지난해 68.5%로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른 것.
공단은 산재노동자가 치료 후에 안정적으로 다시 일터에 복귀할 수 있도록 개인별로 맞춤형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요양초기부터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재활인증병원에서 집중재활치료를 제공하고 산재관리의사가 치료단계부터 직업복귀까지 전 과정에 직접 개입해 의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주가 산재노동자 치료 중에 대체인력을 고용하면 임금의 50%를 지원하는 대체인력지원금과 산재 장해인을 원직장에 복귀시켜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주에게는 직장복귀지원금도 지원하고 있다.
원직장에 복귀하지 못한 산재노동자에게는 공단 취업전담조직인 권역별 재활지원팀에서 직업훈련, 취업설명회, 취업성공패키지, 민간취업전문기관 연계 등을 통해 일터 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공단은 올해도 산재노동자 치료 중 대체인력을 채용하면 신규 고용인력 임금의 50%를 지원하는 대체인력지원금 대상 사업장을 기존 20인 미만에서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했다.
또한 산재 장해인(장해 1~12급)을 원직장에 복귀시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사업주에게 지급하는 직장복귀지원금을 1~3급은 60만원에서 80만원, 4~9급 45만원에서 60만원, 10~12급은 30만원에서 45만원으로 인상했다.
또한 산재노동자의 재취업 지원과 고객 접근성 향상을 위해 권역별 재활지원팀을 기존 8개소에서 10개소로 확대해 서울, 원주, 부산, 창원, 인천, 수원, 대구, 광주, 전주, 대전에서 지원받을 수 있게 했다.
심경우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올해는 선진국 수준의 직업복귀율인 7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산재노동자에게 최적의 재활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