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항만에서 발생하는 유해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해양수산부가 3월부터 야드트랙터의 배출가스저감장치(DPF)장착을 지원한다.
배출가스저감장치는 배출가스의 미세먼지를 필터로 거른 후 엔진의 배출가스 열이나 전기히터 등으로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전환하는 장치다.
야드트랙터는 부두 내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하역장비로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등 전국 주요 항만에서 1,045대가 운영 중이다. 이 장비는 주연료로 경유를 사용해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등 유해 배기가스 배출의 원인으로 지적돼 왔다.
해수부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309대의 야드트랙터를 개조해 사용연료를 경유에서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했다. 올해도 지난 1월 실시한 항만별 수요 조사 결과를 반영해 부산항의 야드트랙터 100대를 LNG로 전환할 예정이다.
LNG 전환 시 기존 경유 연료와 비교할 때 미세먼지는 100% 저감되며 이산화탄소(CO2)와 질소산화물(NOX) 발생량도 각각 약 24%, 9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돼다.
또한 LNG가 경유보다 저렴해 약 32%의 연료비 절감효과가 있고 진동과 소음 등도 줄어 항만 내 작업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올해 처음 국비 13억 원을 투입해 단기적으로 친환경 연료 전환이 어려운 소규모 터미널을 대상으로 경유를 사용하는 야드트랙터에 배출가스저감장치 장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배출가스저감장치 장착 지원대상은 부산항 77대, 인천항 92대, 광양항 68대 등 총 317대의 야드트랙터로 항만공사 관할 항만은 국비 45%에 항만공사가 45%를 지원하며 일반 항만은 국비로 90%를 지원할 예정이다.
박영호 해수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올해 사업으로 항만 야드트랙터의 친환경 전환율은 76%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