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일 발표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조치 계획’ 후속조치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지침을 일부 변경해 4일부터 적용한다.
우선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를 구분하던 종래 접촉자 구분을 폐지해 일괄 ‘접촉자’로 구분한 뒤 자가격리 조치한다.
이에 확진환자 유증상자와 2미터 이내에 접촉하거나 확진 환자가 폐쇄공간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기침을 한 경우 같은 공간에 있었던 사람도 역학조사관의 판단을 거쳐 접촉자로 분류된다.
자가격리자는 지자체 공무원을 1대 1 담당자로 지정해 관리한다. 또한 자가격리가 필요한 접촉자 정보를 지자체 소속기관 소관부서에 제공해 적극적인 조치와 협조가 이뤄지도록 했다.
아울러 방역대책본부는 3일 오전 9시 현재 총 490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했다. 추가 확진 환자 없이 현재까지 15명 확진, 414명 음성으로 격리해제, 61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다.
감염자 중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 9명, 일본에서 확진된 환자와 접촉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 1명, 그 외 국내에서 2차적으로 감염된 사례는 5명이었다. 총 15명의 환자 중 남성이 10명을 차지했고(66.7%), 평균 연령은 42.9세(25~62세)였다.
확진환자들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접촉자 913명(밀접 474명, 일상 439명)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으로 이중 5명이 환자로 확진됐다.
이와 함께 14번째 확진자(40세 여자, 중국인)는 12번째 확진자의 가족으로 2일 확진돼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 중이다. 환자는 증상 발현 후 12번째 확진자와 함께 의료기관, 대형마트를 등을 방문했다. 12번째 환자와 동선이 일치하는 곳은 이미 접촉자 조사와 방역조치가 완료된 상태다. 15번째 확진자(43세 남자, 한국인)의 접촉자는 현재까지 12명이 확인됐고 접촉자는 자가격리 중이다.
환자는 우한 소재 의류상가 '더 플레이스'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기존 3번째, 7번째 환자는 해당 상가에서 근무를, 8번째 환자는 해당 상가를 종종 방문한 적이 있는 등 4명의 환자 모두 상가 4층에 근무 또는 방문한 적이 있다는 공통점이 확인됐다.
다만, 15번째 환자는 4번째 확진자의 항공기 접촉자로도 확인돼 지난 1월 29일부터 자가격리 중이다. 입국 이전과 자가격리 이전에도 증상은 없었고 2월 1일 증상 발현 이후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격리 조치 후 확진됐다.
중국 우한으로부터 2월 1일 2차 임시항공편으로 입국한 교민들의 경우 2차 입국 대상자 333명은 당초 증상을 호소하던 7명을 포함해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이에 1·2차에 걸친 이송 교민 총 701명에 대한 일제 검사 결과 확진 환자는 1명(0.1%)이 발견돼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 중이다. 격리대상자들은 입국일로부터 14일간의 격리기간이 종료되면 한 차례 더 일제 진단검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4일 이내에 중국 우한시 ‘더 플레이스’ 상가에서 근무나 방문한 적이 있어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가까운 선별진료소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의료기관과 약국은 수진자자격조회(건강보험자격), ITS(해외여행력 정보 제공프로그램),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를 통해 접수, 문진, 처방, 조제 단계별로 내원 환자 해외 여행력 확인을 철저히 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